(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기자 = "풍신수길(豊臣秀吉)을 어째서 도요토미 히데요시라고 써야 하는가", "고구려문화의 발상지인 집안(輯安)은 왜 지안(集安)으로 불러야 하나."
언어생활에 상당한 혼란을 주고 있는 한자(漢字)의 원음주의(原音主義) 표기법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학계를 중심으로 터져나오고 있다. 이는 "동양의 인명 지명은 원지음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며 문교부가 1986년 '외래의 표기법'을 제정한 이후 꾸준히 제기돼온 문제이다.
송기중 서울대 교수는 "현행 표기법대로 중국어를 쓰더라도 중국인은 알아듣지 못한다"면서 "예컨대 주은래(周恩來)를 '저우언라이'라고 적고 발음하더라도 중국인은 알아들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저우언라이는 한국어도 중국어도 아닌 정체불명의 표기라는 것이다.
방인태 서울교대 교수는 만주 지방의 지명을 중국식으로 적는 현실을 비판하면서 "외래어표기법에 따라 지안(集安)이라고 쓰고 있는 집안은 옛 사서에 있는 대로 집안(輯安)으로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방 교수는 "중국의 간화자에는 집(輯)자가 없기 때문에 집(集)으로 쓰고 있는 것도 모르고 그저 원음주의 표기에 따라, 그것도 지안으로만 쓴다면 이는 고구려의 지명이 아니라 중국의 지명이며 곧 중국의 역사가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진태하 명지대 명예교수는 "원음주의 표기법에 따르면 선양(瀋陽)이 어디에 있는지, 후진타오(胡錦濤)나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를 한자로 어떻게 쓰는지 지식인도 알기 어렵다"면서 "豊臣秀吉(풍신수실)을 일본에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 한국에서는 '풍신수길', 중국에서는 '펑쳔슈지'로 발음해 온 것이 관행이었으나 현행 외래어 표기법의 원음주의에 묶여 국어생활을 극도로 혼란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회장 백낙환)가 22일 서울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한자 인명.지명 원음주의 표기, 이대로 둘 것인가'를 주제로 개최한 토론회에서는 이 같은 주장들과 함께 한자의 원음주의 표기에 관한 일반인의 설문조사 결과도 내놓았다.
월간 '한글+한자문화'가 독자 6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5%는 한자를 한국어 발음대로 표기하는 데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kind3@yna.co.kr
“왜 ‘胡錦濤’는 ‘호금도’가 아니라 ‘후진타오’인가? ‘釣魚島’는 무엇 때문에 ‘조어도’가 아닌 ‘댜오위다오’로 읽어야 하는가?”
22일 오후,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의 좌석 300석이 가득 찼다. 전국 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이사장 백낙환·白樂晥)가 주최한 ‘한자(漢字) 인명·지명 원음주의(原音主義), 이대로 둘 것인가?’ 대토론회가 열리는 곳이었다. 곳곳에서 “누군가 꼭 제기했어야 할 문제”라는 수군거림이 들렸다. 토론회에서는 한자로 된 중국과 일본의 고유명사를 현지의 ‘원음’대로 표기하는 현실이 오히려 국어 생활의 혼란을 가져오고 있다는 지적들이 쏟아졌다.
◆“의미전달 불가능한 발음기호일 뿐”
이 문제의 근원은 1986년 1월 문교부 ‘외래어표기법’ 제4장 제2절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에 있다고 참석자들은 지적했다. 발제를 맡은 이 연합회의 진태하(陳泰夏) 상임위원장은 “한자문화권에서 표음문자로 인명·지명을 표기하면 의미의 전달이 되지 않기 때문에 문자로서의 구실을 못 한다”고 주장했다. 한자의 고유한 자형(글자의 모양)과 자의(글자의 뜻)는 한·중·일 3국 어디에서도 거의 다 통하지만, 자음(글자의 음)만은 각국마다 토착적인 발음으로 굳어져 사용했을 뿐이다. 그렇다고 ‘國’이란 한 글자를 ‘국(한국)·궈(중국)·고구(일본)’라고 써야 하겠는가? 그는 “한자를 제 나라의 발음대로 읽으면 아무 문제될 것이 없다”고 말했다.
진 위원장은 “‘北京’이란 단어를 ‘북경’이라고 읽으면 ‘중국의 북쪽에 있는 수도’라는 것을 알 수 있는 반면, ‘베이징’이라고 읽으면 그저 하나의 부호로서 앵무새가 흉내 내듯 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 결과 우리 젊은이들이 ‘베이징’이 중국의 어느 쪽에 있는지조차 모르게 됐다는 것이다. 인명의 경우는 더 심각하다. ‘胡錦濤(후진타오)’가 ‘胡(호)’씨인지, ‘溫家寶(온가보)(원자바오)’가 ‘溫(온)’씨인지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느냐는 얘기다.
◆중국인은 못 알아듣는 중국어 발음?
현행 표기법대로 중국어를 발음하더라도 정작 중국인들은 알아듣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周恩來(주은래)(저우언라이)’를 원음대로 발음한다면 ‘周’는 ‘조우’에 가까우며 혀를 말아 올리면서 1성(聲)으로 발음해야 하기 때문에 ‘저우언라이’라는 발음은 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토론자로 나선 송기중(宋基中) 서울대 교수는 “중국 내 조선족들은 ‘毛澤東’을 ‘모택동’이라 발음하면서, 한국 사람들이 ‘마오쩌둥’이라고 읽는 중국말은 중국말도 아니고 조선말도 아니라고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창진(金昌辰) 초당대 교수는 “중국에선 ‘金大中(김대중)’을 ‘찐따종’으로, ‘三星(삼성)’은 ‘싼씽’, ‘安倍晋山(안배진산)(아베 신조)’는 ‘안베이진싼’이라고 말한다. 한국·일본의 고유명사를 모두 중국어로 발음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벨기에’라는 국명을 영어로는 ‘벨점’, 프랑스어는 ‘벨지끄’, 독일어는 ‘밸기언’이라고 읽는다. 국민이 모르는 주변국 고유명사의 ‘현지 원음’을 읽어주는 나라는 한국 말고 유례를 찾기 힘들다는 주장이다.
◆“표기의 주체성은 어디에 있나?”
방인태(方仁泰) 서울교대 교수는 ‘延邊’을 ‘연변’이 아닌 ‘옌볜’으로, ‘吉林省’을 ‘길림성’이 아닌 ‘지린성’으로 부르는 것은 더 큰 문제를 일으킨다고 지적했다. 옛 고구려 땅이자 현재 조선족이 거주하고 있는 곳의 지명을 중국식으로 부른다면, 고구려 역사가 이미 중국에 귀속됐음을 우리 스스로 인정한 꼴이 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진태하 위원장은 원음주의 표기의 원인에 대해 “외래어 표기법이 누구를 위해야 하는지 주체성이 불확실한 데서 즉흥적으로 모색됐기 때문”이라며 “조선족자치주의 ‘龍井’ ‘圖們’ 같은 지명이라도 ‘용정’ ‘도문’으로 통일해 달라는 의견에 귀를 기울여야 하며, 언론매체에서는 한자를 괄호 안에 쓰지 말고 밖으로 빼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07년 10월 22일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주최 '한자 인명,지명 원음주의, 이대로 둘 것인가?' 대토론회. 참석자들은 '胡錦濤'를 '호금도'가 아닌 '후진타오'로, '北京'을 '북경'이 아닌 '베이징'으로 읽는 현행 표기법이 오히려 국어 생활의 혼란을 가져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
빨갱이들의 어문정책인 한글전용을 따라하는 똥고집이 이나라 국민의 水準과 思考를 低級하고 淺薄한 초등수준화로 끌어내려 결국은 左翼들의 사탕발림 선전,선동에도 쉽게 속아 넘어가는 베트남식 左傾化로 내조국을 망하게 하느니!
끝까지 한번 보시길...
-이런 위대한 나의 祖國, 大韓民國을, 昨今과 같이 淺薄한 低質과 생떼가 판을치는 개판으로 만드는 主犯은 바로 盲目的인 '한글전용'이다!
-이 사회 모든 低級한 사회현상과 혼란은 모두 한글전용 탓이다. 빨갱이들의 어문정책인 한글전용이 우리국민을 쉽고 천박한 말만 쓰게 만들고 언어생활 전반이 뜻을 모르는 소리글자만으로 표기되니 매사 숙고하지 않고 깊이 생각하지도 않는 천박하고 단순한 저수준의 국민으로 愚民化, 單純化시켜 전국민을 좌파들의 즉흥적이고 선동적인 선전선동에 취약한 단순 左傾化된 低質국민으로 만든다. 좌파정권 10년동안에 社會底邊으로 급속하게 擴散,定着되어버린 '盲目的이고 極端的인 한글전용'이 이나라를 망친다.
빨갱이 어문정책인 한글전용이라는 개미지옥에 빠져 한글迷信敎에 취해 漢字를 排斥한 결과로 韓國語의 高級어휘가 사라져가고 있고 이로 인해 韓國語는 쉬운단어와 어휘만 쓰는 淺薄한 초등수준의 언어가 되어 그 사이를 외래어,외국어가 차지하는 사망 5분전의 참으로 참담한 저급언어로 전락하는 지경에 이르렀고.. 30년 후, 韓國人 두사람의 대화는 필경 이리될터인즉...
빨갱이들 어문정책인 한글전용을 똥고집처럼 맹목적으로 따라해 전국민이 英語혼용은 괜찮고 漢字혼용은 안된다는 가히 精神病的 漢字被害妄想症과 한글미신교에 빠져 漢字를 죽이고 전통을 부정하는 左派들 천지로 변해가니 한국어는 高級語彙가 死藏된 단순하고 쉬운 언어로 初等水準化 되어 우리의 國語辭典이 초등학생의 노트두께로 얇아지고 있다. 아프리카 미개국 국어사전도 이보다는 두꺼우리라...
이로인해 국민들의 知的水準과 思考가 갈수록 천박하고 단순해져가 전통단절을 통해 새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좌파들의 선전 선동에 극도로 취약한 국민들이 되어가고 이북 빨갱이들의 전통단절의 무기인 漢字폐기(한글전용의 똥고집), 戶主제도 폐지(전통가족제도 붕괴)등등의 左派정책을 멍청하게 따라하니 그들이 만드는 "새세상"이 "개나소나 모두 못사는 새세상"이라는 것도 모르는 멍청이들이 되어간다.
한글전용이 생각하고 熟考하기 싫어하는 단순무식한 국민들로 만든다! 한글전용이라는 惡魔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한다면 韓國은 반드시 망한다! 한글미신교라는 전민족 愚民化 개미지옥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한민족은 반드시 歷史에서 사라진다!
1->全國民 언어,어휘구사능력의 초등수준화(漢字忌避로 쉽고 單純한 單語만을 使用, 高級語彙의 死藏) 2->全國民 지적수준의 하향평준화 (讀書率의 低下, 知的欲求의 下向平準化) 3->全國民 지적수준의 양극화 (指導層의 西洋留學, 庶民層의 知的劣勢 加速) 4->思考의 단순,愚民化(小說,雜誌外의 高等水準의 冊을 안읽으려 한다.知的水準의低下) 5->左派의 蠢動과 煽動의 日常化(思考가 單純無識化된 愚衆이되어 左傾 社會團體의 위선적인 선전,煽動이 잘 먹힌다) 6->全國民의 좌빨, 左傾化의 一般化 (국민모두가 左翼,좌파들은 위선적으로 愚衆들의 고혈을 빨아먹는 빨갱이임을 망각하고 좌파는 진보이며 善인줄 착각한다) 7->社會의 理念對立 투쟁과 政爭, 혼란의 연속 (아마 現在의 우리상황 아닐까) 8->彼我 區分 없이 빨갱이化의 加速 (이쯤되면 누가 진짜빨갱이인지 피아구분도 안된다) 9->거의 거지수준의 빨갱이 軍隊에게 瞬息間에 赤化 (내부분열 및 프락치의 준동으로 인한 내부混亂을 틈타 經濟,軍事力으로는 比較도 안되는 劣勢인 거지수준의 빨갱이軍隊에게 거의 束手無策으로 순식간에 占領 당한다) 10->大殺戮의 시작 및 內部分裂의 先導役割을 했던 프락치 및 좌빨들의 處刑.(한반도 인구의 절반가까이가 처형되는 大殺戮의 시작은 물론 이북의 聖骨빨갱이들이 아닌 남한내 좌빨 및 프락치들도 모두 죽창으로 처형당해 全滅한다.)
월맹이 남베트남을 점령해 赤化를 완료한 후 남월남내서 암약하던 모든 프락치 및 내부 빨갱이들을 상을 주기는커녕 "한번 배신자는 영원한 배신자다. 저런자들은 사회주의에서도 혼란과 분열을 惹起한다. 총알도 아까우니 죽창으로 모두 죽이라."하여 거의 모두 교화소등에서 죽창으로 처형, 전멸된 사실은 歷史가 증명해 준다. 이런 수순을 빨갱이들은 불과 수십년 전 베트남에서 겪어보았고 赤化에 성공했다.
그간 교육현장에서 사라진 漢字로 인해 천박하고 저열한 문자생활과 언어생활로 熟考하지 않는 단순무식하고 천박한 思考로 자라난 한글전용세대들로 인해 급속히 사회저변이 즉흥적이고 충동적인 무뇌아천지로 좌경화되어 정권이 좌파에게 넘어가게 되었고...좌좀신문인 한걸레신문이 시작했던 한글전용과 가로쓰기가 확산되어 90년대말 조선일보마저도 마지막으로 세로쓰기에서 가로쓰기로 바꾸면서 신문지면도 거의 한글전용으로 변해버려 수많은 인쇄매체들에서 한자가 사라졌고 급기야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로 급속도로 한글전용이 실생활에 뿌리내리고 한자가 사라지기 시작한 불과 십수년전부터 이 나라는 전국민의 단순무식 愚衆化로 淺薄한 생떼와 좌파의 사탕발림 선전선동이 판을 치는 低質, 저급한 사회로 변해가며 위와같이 漢字를 버린후 비참하게 된 베트남의 사례를 그대로 따라가고 있는 것이니....
그런데 한자혼용논란시 꼭 한자병용을 그 해결책이라고 말하는 愚鈍하고 灰色的인 멍청한자들이 많다. 아..그러나..읽을 때 漢字竝用(한자병용)은 한글전용보다도 더 눈을 混亂스럽게 만들고 可讀性을 떨어뜨리는데.. 어떤면에서는 한글전용보다 더 나쁜, 더 비열한 漢字竝用(한자병용)이다.
세상의 어느나라도 자신들의 言語를 표시하는 文字(로마자,漢字등)를 적고 옆에 괄호( )를 치고 그 발음기호나 다른문자를 二重으로 또 적는 나라는 없다. 유독 지구상에서 바보들이 넘쳐나는 대한민국에서만 한글전용의 문제점을 해결한다는 미명하에 괄호를 치고 漢字 또는 한글을 竝記하는 바보들이 있다. 糊塗策이다..
漢字語에 있어서는 漢字는 원표기문자이고 한글은 고유어를 표기하거나 발음기호를 표기하는 문자일뿐이다. 편의상 한자어를 적을때 한글로만 적을수는 있다. 그러나 漢字를 표기하고 그옆에 이중으로 괄호치고 한글로 발음기호를 이중으로 다시 표기하거나 또는 그반대라도 그 것은 便法이고 糊塗策이다. 세상의 어느나라도 초기 유치원생 문자교육때를 제외하고는 모국어를 적고 그 옆에 발음기호를 병기하는 나라는 없다. 영어문장중에도 혹여나 어려운 단어가 쓰여졌다고 못읽을까봐 그 옆에 괄호치고 발음기호를 적어주는 나라가 있는가!
文字를 모르면 못읽어야 한다. 그것이 당연하다. 모르면 못읽어야 알기위해서 찾아보고 공부하고 생각하고 記憶한다. 그 원문자인 漢字문자를 모르는데 발음기호인 한글로 읽어봤자 그 의미도 모르므로 읽으나마나이다. 한글전용의 확산이 깊이 생각하거나 熟考하지 않는 천박한 族屬으로 만드는것이 큰 문제인데 그것은 한자병용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漢字竝用은 한글전용보다 더 눈을 混亂스럽게 하는 糊塗일뿐 좋은 방법이 아니므로 漢字混用을 해야한다. 단 10%~20%의 混用이라도 混用이 의미가 있지 竝用은 無意味 그 자체이고 오히려 가독성을 해쳐 漢字에 더욱 敵愾心을 갖게하고 불필요하다고 느끼게하는 逆效果를 보인다.
읽을 때 한자혼용이 훨씬 부드럽게 읽기 좋다. 한자병용은 可讀性이 상당히 좋지 않으며 글을 쓰기에도 二重으로 중복입력해야 해서 무척 힘들뿐더러 가독성도 안 좋은 漢字竝用(한자병용)은 한글전용의 일부이며 그 부작용을 가리기 위한 호도책일뿐이다..
漢字竝用은 괄호안에 二重으로 중복표기가 됨으로써 可讀性이 많이 떨어지는 逆效果가 있고 글을 쓸 때도 이중입력으로 무척 힘들고 글을 읽을 때도 이중으로 중복표기 때문에 부드럽게 읽기에 무척 방해가 되는바, 한자병용은 입력방법과 눈을 피로하게 하여 不必要하고 가독성을 떨어뜨려 부드러운 독서에 더욱 해롭다.
한자병용은 한글전용의 문제점을 糊塗하기 위한 彌縫策에 불과할 뿐, 근본적으로 한글전용과 같으며 오히려 가독성을 저해하여 漢字에 대한 盲目的인 敵愾心만 더 증폭시키는 역할을 할수 있어 오히려 더 해로울 수 있다....
★ www.interOK.kr /大韓國人의 復活! 나의祖國이 한글전용이라는 개미지옥의 陷穽에 빠져 서서히 淺薄하게 망해가고 있음을 痛歎하면서../많은 세월을 왼손잡이가 正義라 믿고 살아왔으나 그들의 詐欺的인 僞善과 左派獨裁의 惡魔性에 幻滅을 느끼고 錯覺에서 깨어 지금은 徹底한 오른손잡이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