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祖)와 종(宗)의 차이는?
우리가 조선 왕조의 역대 왕 명칭을 외울 때 흔히 '태정태세문단세...'라는 방법으로 외우고 있지요. 태조나 태종 등 왕을 지칭할 때 쓰는 이 명칭은 사실 왕이 죽고 난 후에 붙인 명칭입니다. 이러한 명칭을 일컬어 묘호(廟號)라고 하는데, 이는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는 종묘에 신위를모실 때 쓰기 위한 것이지요.
이 묘호의 뒤에는 조(祖)와 종(宗)이 붙는데, 보통 조는 공(功)이 탁월한 왕에게 붙이게 됩니다. 즉 나라를 세웠거나 변란에서 백성을 구한 커다란 업적이 있는 왕이 조가 되지요. 그리고 앞선 왕의 치적을 이어 덕(德)으로 나라를 다스리고 문물을 융성하게 한 왕은 종으로 부릅니다.
그러면 조나 종의 묘호는 누가, 어떻게 정하게 되는 것일까요? 묘호는신료들이 왕의 일생을 평가해 정했다고 합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정한 묘호를 바꾸는 경우도 있었다고 하지요. 예를 들면 선조의 경우, 처음 묘호가 선종이었으나 국난(임진왜란) 극복 등 커다란 공이 있다고 일부신하들이 주장해 선조로 바꿨다고 하지요.
그런데 왜 광해군과 연산군은 왕이었으면서도 조나 종이 아닌 군(君)의호칭이 붙었을까요? 군이라는 것은 원래 왕자들이나 왕의 형제, 또는 종친부나 공신에게 주어지던 호칭이었지요. 그러나 광해군과 연산군의 경우는재위 기간 중 국가와 민생에 커다란 해를 끼친 폭군으로서 폐위되었기 때문에 왕으로 대접하지 않고 군으로 봉해진 것입니다.
따라서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追尊王 : 실제로 왕위에 오르지는 못했지만, 죽은 뒤에 묘호가 내려진 왕)과 왕비의 신위가 봉안되어 있는 왕실의 사당인 종묘에서도 광해군과 연산군의 신위는 찾아 볼 수 없답니다.
================
본래, 묘호로 쓰여지는 정식 왕명에 군(君)은 쓰지 않습니다.
조(祖)와 종(宗)만이 정식으로 쓰여지는데,
원칙적으로는..
창업이나 국난을 극복한 경우에는 조(祖)를 붙히고,
나라를 잘 다스린 경우에는 종(宗)을 붙힌다고 합니다.
즉, 조(祖)는 업적, 종(宗)은 수성인 셈이지요.
그래서, 종(宗)보다는 조(祖)를 더 우월한 의미로 사용합니다.
고려시대에 조(祖)의 묘호를 받은 왕은 유일하게 태조 왕건 뿐이며,
나머지 모든 왕에게는 종(宗)의 묘호를 붙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원칙상 그렇다는 뜻이며..
실제로는..
반정이나 정권찬탈 등의 비정상적인 경로로 왕이 된 경우 조(祖)를 붙히고,
정상적인 승계과정을 거쳐 왕이 된 경우 종(宗)을 붙힌다고 합니다.
또는..
후궁의 자식으로 왕이 된 경우 조(祖)를 붙히고,
왕비의 자식으로 왕이 된 경우 종(宗)을 붙힌다고 합니다.
한마디로 쉽게 말하자면,
출신이나 계승과정 등이 정상적인 왕은 종(宗),
출신이나 계승과정이 비정상적인 왕이라면 조(祖)를 붙히는 겁니다.
연산군. 광해군의 군(君)은, 폐위되어 왕자로 강등되었음을 나타내는 겁니다.
폐위된 왕을 군(君)이라고 칭하는게 아니라,
왕이 폐위되었으므로, 왕자때의 신분인 강등된 군(君)을 붙히는 겁니다.
불명예 퇴진하는 장군이 이등병으로 강등되었다..는 개념과 유사하다고 보면 됩니다.
이러한 원칙은 조선 초반에는 비교적 잘 지켜져 나갔으나,
중대로 갈수록 점점 모호해 지게 되었으며,
당쟁과 세도정치가 극심해진 후대에는..
다분히 아부성 의도의 조(祖) 묘호가 남발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영조, 정조, 순조..의 3연속 조(祖)묘호 입니다.
영조와 정조가 훌륭한 인물이긴 하나, 업적을 이룩한 왕이라기 보다는,
잘 다스린 왕이라고 할수 있고, 순조는 오히려 제대로 못 다스린 왕이었으니,
업적이 뛰어나다는 의미로 붙혀진 묘호는 아닐거라는 말입니다.
특히 민생이 곤궁했던 순조시대의 경우로 볼때, 앞에서 지적한
안동 김씨 세도정권의 다분히 의도적인 아부성 묘호가 아닌가 생각 됩니다.
아무래도, 왕의 이름인 묘호가, 왕의 사후에 결정되므로,
당시 정권의 향배에 따라, 선대 왕에 대한 평가의 기준도 변했을 것입니다.
여러 추측들이 난무하지만, 대충 요약하자면..
정상적인 경우 종(宗), 비정상적인 경우 조(祖)로 구분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런 기준으로 들여다보면,
정확하진 않지만, 대략 맞아 떨어지게 됩니다.
===================
여러 끼어맞추기식의 말들이 많은게 '조'와 '종'의 차이인데요.
사실 원래 원칙적으로 따지자면야 '조공종덕' 이라해서 '조'는 창업의 공이있거나 그에 준하는 공이 있는 왕에게, '종'은 덕이 있어 나라를 잘 다스린 왕에게 붙이는 것입니다.
태조: 창업을 했음.
세조: 왕위를 찬탈했지만 차남인 예종이 즉위하면서 반정이 아닌 정통성과 명분확보를 위한 추증인듯. 이후로도 세조의 자손들이 왕위를 계승하니까요;;
선조: 처음에는 선종이었으나 광해군이 나중에 임진왜란으로 인해 나라가 망하는 위기에서 구한공이 창업에 준한다하여 추증.
인조: 원래는 인종이라고 하여야 한다고 반대가 심했었던 듯 하지만 역시 차남인 효종이 즉위하면서 인조반정이 창업에 준하는 공이라고 인정한 듯;;;;
그 외에는 고종이 우리나라를 대한제국으로 선포하면서 황제의 위에 올라 자신의 직계 조상5대를 추존한건데 영조, 장조, 정조, 순조, 문조등입니다.
영조, 정조, 순조는 원래 영종, 정종, 순종이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시다시피 장조는 정조의 생부 사도세자구요, 문조는 순조의 아들 익종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