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의 左翼과 右翼"-과연 누가 진보인가!
한국에서의 좌익과 우익
현재 한국사회에서 상대방을 保守라고 지칭하면,
그 지칭을 받은 사람은 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모욕감을 느낄 가능성이 있다.
현재의 사회분위기에서는 보수(保守)라는 단어 속에 묵시적으로 '반동(反動)'이라는 접미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아듣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진보'라고 하면, 마치 뜻있는 사람이 가져야 할 무슨 신선한 유행의 최신 자세인 것처럼 받아들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우파'에 속할 수밖에 없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은, 스스로를 '보수'라고 자조하며 대립하고 있는 상대편의 좌파들을 '진보'라고 호칭해주어 그들을 더 즐겁게 해주고 있다.
상대방을 진보라고 하지 않고, 예컨대 左翼 또는 左派라고 호칭했다가는 요즘같아선 무슨 봉변을 당하거나 큰코 다칠지도 모른다고 내심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보수(保守)와 진보(進步)라는 단어는, 구미 선진국(先進) 용어의 번역어다.
그런데..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같은 나라에서 그 이념대립을, 保守와 進步의 대립으로 이름짓는것은 바로 그들의 역사적 경위가 그러했기 때문이다.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에서 '보수'와 '진보'의 개념이 나온 것은 근대 부르죠아 자유주의 혁명에 대한 각 세력의 태도에 그 연원(淵源)을 두고 있다.
이들 나라에서 전통과 관습을 존중할 것을 내세우면서, 신분제도에 기초한 봉건제도의 근간만은 지키려고 한 세력이 보수파(保守派)였고 그들의 이념이 보수주의(保守主義)였다.
보수이념의 구심은 존왕사상(尊王思想)이었다.
대표적인 사람이 영국의 에드먼드 버크. 이에 반해, 전통(傳統)과 관습(慣習)은 그 중심사상이 미신이거나 비합리(非合理)라고 주장하면서, 전통과 관습을 타파하고 惡인, 신분과 봉건제도를 전복하고 시민으로 구성된 이성적(理性的)인 자유주의 체제를 건설할것을 주장한 세력이 진보파(進步派)였고 이들의 이념이 진보주의(進步主義)였다.
그 대표적인 이론가가 프랑스의 장 자크 루소였다.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등 선진(先進)의 각국에서 이와 같이 왕·봉건제도·고전사상을 중심으로 보수와 진보의 '개념'이 먼저 정립 발전된 후, 그 역사성을 계승하면서 내용이 다양화 되어서 오늘에 이르른 것이다.
그러나 한국은, 이들 나라들과는 그 사회적인 배경이라 할 수 있는 '역사성(歷史性)'이 전혀 달랐기 때문에, 한국 안에서 '보수'와 '진보'라는 용어를 가지고는 그 언표(言表)하려는 대상을 도저히 정확하게 지칭할래야
애시당초 그렇게 할 수가 없다.
아시는 바와 같이..
한국의 근대(近代)는, 日帝에 의한 식민지로의 전락(轉落)과 병행하면서 개시할 수 밖에 없었고 그 과정에서 한국 봉건 제도(制度)는 한국 봉건 문화(文化)와 전혀 인연이 없는 외세(外勢)에 의하여 해체되고 말았다.
따라서, 그 이데올로기 역시도 이후의 한국 근대(近代)로 계승되지 못하고, 스스로 파탄(破憚)되어 버리고 만 것이다.
독립운동 세력들도, 멸망한 조선왕조를 회복하려는 이데올로기는 내세우지 않았다.
독립운동 세력의 이데올로기는 '自由主義'와 '社會主義' 였다.
후진(後進) 식민지에서 독립을 지향하는 자유주의와 사회주의는 둘 다, 진보주의(進步主義)일 수 밖에 없다.
광복 후, 새로운 민족국가 건설을 둘러싸고 벌어진 대립도 자유주의와 사회주의 사이에서 일어났다.
그 어느누구도, 민족의 전통 사상에 입각한 조선왕조(王朝)로의 회복 즉, 보수주의(保守主義)를 주장하지 않았다.
광복 공간에서의 한반도의 保守主義는 '의미있는' 조류(潮流)로서는 이미 '消滅'되어 있었던 것이다....
광복 후 새 민족국가 건설을 둘러싸고 대립했던 '자유주의'와 '사회주의'는 세계조류로서의 이념적 측면에서도 모두 진보주의에 속(屬)하는 세력이었다.
그래서, 광복 당시 이 정치세력들을 좌익(左翼)과 우익(右翼)으로 호칭했지 진보(進步)와 보수(保守)로는 호칭하지 않았다.
이후로도 좌익은 진보세력(進步勢力)이라고 스스로를 계속 칭(稱)하였으나, 그 명칭 자체가 사회과학적(社會科學的) 정확성(正確性)을 이미 결여하고 있었으므로 저네들의 그저 '자칭(自稱)'이었을 뿐, 상대방에게 있어서나 일반적으로는 전혀 통용되지 못했다.
역시 지금에 있어서도, 한반도에서 대립하는 두 이념세력은 좌파(左派)와 우파(右派)이지, 진보와 보수가 아니다.
굳이 따지자면, 독립투쟁과 근대화 과정에서 한국에 도입된 자유주의와 사회주의는 모두 進步이지 保守가 아닌 것이다.
보편사적으로도 후진식민지의 민족해방투쟁과 근대화 과정(過程)에서의 자유주의와 사회주의는 모두 진보적인 사조(思潮)이다.
그러므로 진보와 보수라는 부정확한 용어를 버리고 좌파(左派)와 우파(右派), 혹은 좌익(左翼)과 우익(右翼)이라는 정확하고 '명확(明確)한' 용어를 쓰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좌파들의 지향점인 북한의 金正日정권은 진보의 한 갈래인 사회주의 정권을 자임하면서도, 지극히 이상한 변종(變種)인 '우리식(?) 수령제일주의'를 내세우며, '선군정치(先軍政治)'라는 이름으로 이 대명천지에 '군국주의(軍國主義)'를 공공연히 자행하고 있는데, 이런것이 바로 언어도단(言語道斷)이 아니면 무엇이랴....
국민, 또는 인민(人民)이 나라와 정치의 주권자(主權者)라는 것에 대하여는 좌우派 어느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진리로 인정된 21세기에, '(우리식)수령제일주의' '선군정치 先軍政治'를 정치이념으로 내어놓는 자(者)들이 스스로를 역사와의 관계에 있어서의 '진보 進步'라고 자칭하는 것은 언어에 대한 조소(嘲笑)다.
김정강(金正剛) 사회평론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