世宗大王이 訓民正音을 만든 본뜻은 무엇인가
金昌辰 (草堂大 圖書館長, 韓國 漢字·漢文 敎育學會 副會長)
며칠 뒤면 '한글날'이 다시 돌아온다. 우리는 '한글날'을 맞아, 世宗大王이 '訓民正音'을 만든 뜻을 정확히 알고, 그 뜻을 바르게 繼承해 나가야 한다.
世宗大王이 '訓民正音'을 만든 目的은 세 가지다.
그 첫째 目的은 우리 '말'과 '글'을 一致시키고자 함이었다. 世宗大王은 '漢文'으로는 韓國人의 말을 語順대로 적지 못함을 안타깝게 여겼다. 『訓民正音』 序文의 “나랏말쌈이 듕긕에 달아 서로 사맛디 아니할새”가 바로 그 뜻이다. 그래서 소리글자를 만들어서 한국말과 한국글자를 일치시키고자 했다. 이 글자가 생김으로써 비로소 한국인은 말하는 소리 그대로 글을 적을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訓民正音을 만들기 전에는 “나는 산에 올랐다”를 漢文으로 飜譯하여 “我登山”으로 적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訓民正音을 만든 以後로는 소리 그대로 적을 수 있었다. 이로써 韓國語의 '語文一致'를 이루었다. 바로 이것이 世宗大王이 訓民正音을 만드셔서 우리 韓國人이 가장 便利하게 된 점이다.
世宗大王이 '訓民正音'을 만든 둘째 目的은 토박이말을 그대로 적기 위함이다. 소리글자인 訓民正音이 만들어짐으로써 토박이말은 비로소 소리대로 적을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서 '손', '가슴', ‘머리카락’이라는 토박이말은 訓民正音이 없을 때는 '手', '胸', ‘頭髮’이라고 漢字語로 飜譯하여 적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訓民正音이라는 소리글자가 생김으로써 소리 그대로 적을 수 있게 되었다.
世宗大王이 '訓民正音'을 만든 셋째 目的은 韓國語 發音을 정확히 적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漢字音을 正確한 標準 發音으로 統一하기 위해서였다. 당시 우리나라 漢字音은 中國과 다른데다가 또 각 지방마다도 달라서 混亂스러웠다. 그래서 世宗大王은 標準 漢字音을 정해서 어지러운 漢字音을 바로잡고자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標準 漢字音을 正確히 적어서 국민에게 가르칠 수 있는 소리글자가 필요했다. '訓民正音'이란 이름이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임이 바로 이 셋째 目的을 나타낸 것이다. 世宗大王이 중국의 『洪武正韻』을 본떠 『東國正韻』을 만든 것도 바로 이 셋 째번 目的과 관련된다.
우리가 바르게 알아야 할 사실은 世宗大王은 한글專用을 하시지도 않았고 바라지도 않았다는 점이다. 世宗大王은 漢字語는 반드시 漢字로 적었고, 단 한 번도 訓民正音으로 적지 않았다. 世宗大王은 漢字語는 반드시 뜻글자인 漢字로 적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만약에 漢字語만 적는다면 새로이 글자를 만들 필요조차 없었다. 이미 漢字語를 적는 完璧한 글자인 漢字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漢字가 있는 데도 새로 만든 訓民正音은 漢字語에는 단지 發音記號로만 쓰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世宗大王은 漢字語를 적을 때는 그냥 漢字로만 적거나 아니면 漢字를 앞에 적고 그 뒤에 訓民正音을 發音記號로서 덧붙여 적었다. 그러니까 漢字語를 적을 경우 소리글자인 訓民正音은 ‘發音記號’로만 쓰인 것이다.
世宗大王은 訓民正音을 만든 뒤에도 국가의 公文書는 계속해서 漢文으로만 적었다. 또 『龍飛御天歌』나 『月印千江之曲』, 『釋譜詳節』, 『月印釋譜』 등은 漢字語는 漢字로, 토박이말은 訓民正音으로 나누어 적었다[國漢字混用]. 또는 漢字는 ‘文字’로서 적고 訓民正音은 ‘發音記號’로서 함께 적었다[國漢字竝用]. 아무튼 訓民正音만으로 글을 적은 경우는 단 한 번도 없었다. 이것은 世宗大王은 한글專用할 생각은 눈곱만큼도 없었다는 사실을 증명해 주는 것이다.
世宗大王은 韓國語 語彙를 그 性格에 따라 漢字語는 漢字로, 토박이말은 訓民正音으로 각기 나누어 적음으로써 漢字와 訓民正音을 調和롭게 쓰셨다. 國漢字混用이 世宗大王이 訓民正音을 만든 目的인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 韓國人은 世宗大王의 意圖에 拒逆하여 한글專用을 하고 있다. 이것이 現代 韓國人의 國語生活을 망쳐버리는 原因이 되고 있다.
첫째로, 한글專用은 漢字로 적으면 구별되는 漢字語들을 同音異議語로 만들어버리고 있다. 그래서 한글專用으로 적힌 글을 讀者가 읽을 때 漢字語 同音異議語를 일일이 스스로 구별해서 意味 把握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힘이 많이 들어 不便하다. 따라서 한글專用이 글을 쓰기에는 편한지 모르나 반대로 글을 읽기에는 오히려 不便하다. 물론 낱말 뜻을 正確히 알지 못해도 적당히 넘어가면 괜찮다. 그렇기 때문에 한글專用을 오래 하다보면 글을 대충 대충 感만 잡고 넘어가는 나쁜 버릇이 들게 된다. 그리고 그것은 곧 國語能力 低下로 連結된다. 오늘날 우리나라 학생들의 대부분이 그런 상태에 빠져 있다.
둘째로, 한글專用은 韓國語 發音을 엉망진창으로 만들어버린다. 위의 셋째 目的에서 밝혔듯이 원래 訓民正音은 韓國語 發音을 正確히 적고자 만든 소리글자였다. 그리고 世宗大王 당시에는 그 目的대로 完璧하게 成功했다. 거기에는 訓民正音의 각 낱글자 앞에 찍는 傍點이 중요한 구실을 했다. 傍點이 韓國語 發音의 高低長短을 정확히 나타내 주었기 때문이다. 오늘날 自動車에 比喩하자면 傍點은 ‘速度 調節器(기어)’같은 것이다. 아무리 自動車가 좋아도 速度 調節이 안 된다면 그 自動車는 優秀한 自動車라 할 수 없다. 그런데 문제는 현행 한글은 그 중요한 傍點을 없애 버렸다는 점이다. 따라서 현행 한글은 韓國語의 正確한 發音을 적지 못하게 되어버렸다. 한글은 訓民正音에 비해 오히려 表記能力이 後退한 것이다.
현행 ‘標準發音法’은 긴소리와 짧은소리를 구별해서 발음해야 標準發音이라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현행 ‘한글’은 긴소리와 짧은소리를 구별하여 적지 않는다. 그러니 현행 한글로 적은 글을 읽으면 아나운서도 韓國語 標準發音을 하지 못한다. 그래서 오늘날 韓國人의 發音이 엉망진창인 것이다. 어느 정도 混亂스러우냐 하면 아나운서가 大韓民國을 제대로 발음하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다. 엉터리 한글 때문에 韓國語 發音은 거의 개판이 되어버렸다. 世宗大王은 韓國語 發音을 正確히 적을 수 있는 優秀한 ‘訓民正音’을 만들어 주셨다. 그런데 後孫이 어리석어 수준 낮은 ‘한글’로 後退시켜서 韓國語 發音을 混亂에 빠뜨린 것이다.
한글專用을 하면 이처럼 낱말의 意味를 알 수 없는 것은 물론이고 게다가 發音마저 엉망진창이 되고 만다. 한마디로 한글專用은 엄청나게 잘못된 일이다.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일이다. 이것이 해도 될 일이었으면 왜 訓民正音을 만드신 世宗大王이 하지 않으셨을까? 世宗大王이 하지 않은 것은 한글專用이 理致上 안 되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오늘날 大韓民國 政府는 한글專用을 법으로까지 만들어서 온 국민에게 强要하고 있다. 이것은 잘못해도 너무 잘못하는 일이다. 반드시 고쳐서 바로잡아야 할 일이다.
며칠 뒤면 다시 ‘한글날’이 돌아온다. 우리는 '한글날'을 맞아 世宗大王이 訓民正音을 만든 根本 精神을 정확히 알고, 그 뜻을 바르게 이어받아야 한다. 우리가 訓民正音을 만드신 世宗大王을 尊敬한다면 오늘날에도 그분의 뜻을 받들어 繼承해야 한다. 첫째로, 漢字語는 漢字로, 토박이말은 訓民正音으로 각기 나누어 적는 國漢字混用의 傳統을 이어나가야 한다. 둘째로, 世宗大王이 만든 '傍點'을 오늘에 되살려 긴소리에는 長音符를 한글 옆에 붙여 적어야 한다.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한글날'의 意義를 올바르게 살리는 길이다.